박노수미술관

종로구립 박노수미술관 소장품 목록

제목
강(江)
제작연도
1980년대 후반
작품크기
95X166cm
재료 및 기법
한지에 수묵담채
시어
藍丁畵
시어해석
남정이 그리다.
강(江)
제목
백로(白鷺)
제작연도
1997
작품크기
97X180cm
재료 및 기법
한지에 수묵담채
시어
藍丁畵
시어해석
남정이 그리다.
백로(白鷺)
제목
수변(水邊)
제작연도
1992
작품크기
97X180cm
재료 및 기법
한지에 수묵담채
시어
艮園 藍丁畵
시어해석
간원에서 남정 그리다
수변(水邊)
제목
고사(高士)
제작연도
1990년대 후반
작품크기
93X178cm
재료 및 기법
한지에 수묵담채
시어
艮園 藍丁畵
시어해석
간원에서 남정이 그리다.
고사(高士)
제목
연화(蓮花)
제작연도
1970
작품크기
34.5X69.5cm
재료 및 기법
한지에 수묵담채
시어
荷心香 庚戌秋 藍丁畵
시어해석
연꽃과 같이 마음은 늘 향기롭다.
1970년 가을 남정
연화(蓮花)
제목
세마도(洗馬圖)
제작연도
1983
작품크기
38.5x72cm
재료 및 기법
한지에 수묵담채
시어
洗馬圖 藍丁畵 時癸亥七月
시어해석
세마도
1983년 7월 남정이 그리다.
세마도(洗馬圖)
제목
무제(無題)
제작연도
1990년대 후반
작품크기
58x93cm
재료 및 기법
한지에 수묵담채
시어
藍丁畵
시어해석
남정이 그리다.
무제(無題)
제목
길상여의(吉祥如意)
제작연도
1973
작품크기
50x72cm
재료 및 기법
한지에 수묵담채
시어
吉祥如意 癸丑冬藍丁
시어해석
길하고 상서로움이 뜻처럼 되시기를 바람.
1973년 겨울 남정
길상여의(吉祥如意)
제목
절진(絶塵)
제작연도
1980년대 후반-1990년대 초반
작품크기
45.9x69.6cm
재료 및 기법
한지에 수묵담채
시어
絶塵 艮園 藍丁畵
시어해석
풍진 세상과 거리를 두고 한가롭게 지낸다.
간원에서 남정이 그리다.
절진(絶塵)
제목
어린이
제작연도
1990년대 후반
작품크기
34x45cm
재료 및 기법
한지에 수묵담채
시어
藍丁畵
시어해석
남정이 그리다.
어린이
제목
장미(薔薇)
제작연도
1972
작품크기
46x69cm
재료 및 기법
한지에 수묵담채
시어
壬子春 藍丁
시어해석
1972년 봄 남정
장미(薔薇)
제목
무제(無題)
제작연도
1990년대 후반
작품크기
34x45cm
재료 및 기법
한지에 수묵담채
시어
艮園 藍丁畵
시어해석
간원에서 남정이 그리다.
무제(無題)
제목
매신춘(梅信春)
제작연도
1974
작품크기
34.8x34.6cm
재료 및 기법
한지에 수묵담채
시어
梅信春 甲寅春 藍丁
시어해석
매화가 봄을 알린다.
1974년 봄 남정
매신춘(梅信春)
제목
무제(無題)
제작연도
1990년대 후반
작품크기
35x34.5cm
재료 및 기법
두방에 수묵담채
시어
藍丁畵
시어해석
남정이 그리다.
무제(無題)
제목
강(江)
제작연도
1990년대 후반
작품크기
32x32cm
재료 및 기법
한지에 수묵담채
시어
艮園 藍丁畵
시어해석
간원에서 남정이 그리다.
강(江)
제목
고사(高士)
제작연도
1990년대 후반
작품크기
34.5x33.5cm
재료 및 기법
한지에 수묵담채
시어
艮園 藍丁畵
시어해석
간원에서 남정이 그리다.
고사(高士)
제목
유록(遊鹿)
제작연도
1970년대 후반
작품크기
34.5x34.5cm
재료 및 기법
한지에 수묵담채
시어
藍丁畵
시어해석
남정이 그리다.
유록(遊鹿)
제목
산가풍미진(山家風味眞)
제작연도
1977
작품크기
34.5x34.5cm
재료 및 기법
한지에 수묵담채
시어
山家風味眞 丁巳秋 玄同畵樓 藍丁筆
시어해석
산가의 풍미가 좋다.
1977년 가을 현동화루에서 남정이 그리다.
산가풍미진(山家風味眞)
제목
목련(木蓮)
제작연도
1973
작품크기
45.5X45.5cm
재료 및 기법
한지에 수묵담채
시어
藍丁畵
시어해석
남정이 그리다.
목련(木蓮)